분류:스마트 건설


정의

  • 전통적 토목 건축기술에 BIM, IoT, Big Data, 드론, 로봇 등 스마트 기술이 융합되어 건설 全과정의 디지털화, 건설장비 자동화, 가상 건설, 현장 안전관리 등 건설 생산성 또는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기술[1]
- (설계) 3D 가상공간에서 최적 설계, 설계단계에서 건설 운영 통합관리
- (시공) 날씨 민원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재를 공장 제작 생산, 비숙련 인력이 고도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장비 지능화 및 자동화
- (유지관리) 시설물 정보를 실시간 수집 및 객관적·과학적으로 분석

용어설명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 사 업 명 :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2]
  • 총사업비 : 1,969.76억 원 (정부 1,476.14억 원, 민간 493.62억 원)
  • 사업기간 : 2020년 ~ 2025년 (6년)
  • 사업목적 : 건설산업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를 위한 “기술혁신 및 산업생태계 조성”
  • 추진주체 ­주관부처 : 국토교통부
  • ­전문기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사업목표
- 건설 생산성 및 안전성의 혁신적 향상
- ­(4대 목표) 건설 생산성 25% 이상 향상, 건설 공기 25% 이상 단축,
- 건설업 재해율 25% 이상 감소, 건설 생산과정의 디지털화 25% 이상 향상
  • 주요 사업내용
- (중점분야1)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개발 : 드론 자율 계측에 의한 초정밀 3차원 Digital Map을 구축하고, 이를 도로건설장비 자동화 기술(MG, MC)과 융합하거나, 다양한 타입의 국내외 건설장비의 실시간 관제에 활용하는 기술
- (중점분야2)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ㆍ 도로구조물 설계-제작-시공의 혁신을 위한 디지털(BIM) 가상 건설, 고소(高所)·고위험 환경에서 VR·로봇·시뮬레이션·센싱 기술을 활용한 도로 구조물 무인·자동화 시공 및 품질관리 기술
- (중점분야3)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개발 ㆍ 현장 근로자 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교육 플랫폼, 임시구조물 설치·해체패턴 인식 기술 등을 개발하고, 이를 AI 기반 안전 통합 관제하는 시스템 개발
- (중점분야4)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 베드ㆍ 중점분야 1~3의 생성 정보를 교환 가능한 디지털 정보로 표준화하여 저장하고, 민·관 모두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한 지식 플랫폼 개발과 실제 도로 건설 현장을 선정하여 중점분야 1~4 연구성과 종합 검증

관련규정

관련용어

  1.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기획 최종보고서(국토교통부, 2019. 02)
  2.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기획 최종보고서(국토교통부, 2019. 02)

하위 분류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 2개 가운데 2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