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삭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장비명==
굴삭기
==용어==
==용어==
'''굴착기'''(掘鑿機, {{llang|en|excavator|엑스커베이터}}) 또는 '''굴삭기'''(掘削機)<ref>일본식 용어. [http://krdic.naver.com/rescript_detail.nhn?seq=556 국립국어원의 답변 참고.]</ref>, '''삽차'''(삽車), '''포클레인'''({{llang|en|Poclain}}←[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1%B4%EB%9E%AD 포클랭])
'''굴착기'''(掘鑿機, {{llang|en|excavator|엑스커베이터}}) 또는 '''굴삭기'''(掘削機)<ref>일본식 용어. [http://krdic.naver.com/rescript_detail.nhn?seq=556 국립국어원의 답변 참고.]</ref>, '''삽차'''(삽車), '''포클레인'''({{llang|en|Poclain}}←[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1%B4%EB%9E%AD 포클랭])
4번째 줄: 7번째 줄:
[https://ko.wikipedia.org/wiki/%EB%95%85 땅]이나 [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C%84%9D 암석] 따위를 파내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A%B3%84 기계]이다. 대한민국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에서는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굴착장치를 가진 자체중량 1톤 이상의 것"으로 정의한다.<ref>{{웹 인용|url=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201239&lsNm=%EA%B1%B4%EC%84%A4%EA%B8%B0%EA%B3%84%EA%B4%80%EB%A6%AC%EB%B2%95+%EC%8B%9C%ED%96%89%EB%A0%B9&bylNo=0001&bylBrNo=00&bylCls=BE&bylEfYd=20180118&bylEfYdYn=Y|제목=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 별표1|성=|이름=|날짜=2019-09-17|웹사이트=국가법령정보센터|출판사=|확인날짜=2019-12-28}}</ref> 최초의 근대적인 기계식 스팀 굴착기는 [https://ko.wikipedia.org/wiki/1835%EB%85%84 1835년]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D 미국]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C%8C%EB%A6%AC%EC%97%84_%EC%98%A4%ED%8B%B0%EC%8A%A4 윌리엄 오티스]([[wikipedia:William Otis|William S. Otis]])가 [https://ko.wikipedia.org/wiki/%EB%B0%9C%EB%AA%85 발명]했다.<ref>{{백과사전 인용|백과사전=Encyclopedia of Earth|제목=Otis, William S.|저자=Cutler J. Cleveland|url=http://www.eoearth.org/article/Otis,_William_S.|확인날짜=2011-08-10|언어=en|인용문=…(전략)…invented the first powered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steam shovel in 1835…(후략)…}}</ref> 참고로, 윌리엄 오티스는 현대식 [https://ko.wikipedia.org/wiki/%EC%97%98%EB%A6%AC%EB%B2%A0%EC%9D%B4%ED%84%B0 엘리베이터]의 발명자 [https://ko.wikipedia.org/wiki/%EC%97%98%EB%A6%AC%EC%83%A4_%EC%98%A4%ED%8B%B0%EC%8A%A4 엘리샤 오티스]와 사촌지간이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95%85 땅]이나 [https://ko.wikipedia.org/wiki/%EC%95%94%EC%84%9D 암석] 따위를 파내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A%B3%84 기계]이다. 대한민국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에서는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굴착장치를 가진 자체중량 1톤 이상의 것"으로 정의한다.<ref>{{웹 인용|url=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201239&lsNm=%EA%B1%B4%EC%84%A4%EA%B8%B0%EA%B3%84%EA%B4%80%EB%A6%AC%EB%B2%95+%EC%8B%9C%ED%96%89%EB%A0%B9&bylNo=0001&bylBrNo=00&bylCls=BE&bylEfYd=20180118&bylEfYdYn=Y|제목=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 별표1|성=|이름=|날짜=2019-09-17|웹사이트=국가법령정보센터|출판사=|확인날짜=2019-12-28}}</ref> 최초의 근대적인 기계식 스팀 굴착기는 [https://ko.wikipedia.org/wiki/1835%EB%85%84 1835년]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D 미국]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C%8C%EB%A6%AC%EC%97%84_%EC%98%A4%ED%8B%B0%EC%8A%A4 윌리엄 오티스]([[wikipedia:William Otis|William S. Otis]])가 [https://ko.wikipedia.org/wiki/%EB%B0%9C%EB%AA%85 발명]했다.<ref>{{백과사전 인용|백과사전=Encyclopedia of Earth|제목=Otis, William S.|저자=Cutler J. Cleveland|url=http://www.eoearth.org/article/Otis,_William_S.|확인날짜=2011-08-10|언어=en|인용문=…(전략)…invented the first powered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steam shovel in 1835…(후략)…}}</ref> 참고로, 윌리엄 오티스는 현대식 [https://ko.wikipedia.org/wiki/%EC%97%98%EB%A6%AC%EB%B2%A0%EC%9D%B4%ED%84%B0 엘리베이터]의 발명자 [https://ko.wikipedia.org/wiki/%EC%97%98%EB%A6%AC%EC%83%A4_%EC%98%A4%ED%8B%B0%EC%8A%A4 엘리샤 오티스]와 사촌지간이다.    위키백과


==재료==
==구조 및 특징==
일반적으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양구조물 등에서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도막 철근이나 아연 도금 철근,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근, 더 높은 부식환경에서는 섬유에폭시 수지 분체 철근을 쓰기도 한다.        나무위키
 
==모양==
==사고사례==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한다.
 
===이형철근===
==유의사항==
[[파일:Sheaf_of_steel_rebars.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heaf_of_steel_rebars.jpg|섬네일|253x253픽셀|이형철근]]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주철근에 이형철근을 쓴다면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B0%A9 부착]강도가 큰 점, 이음에 철근이 절약된다는 점, 보통 갈고리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의 장점이 있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2015|p=54}} SD(Deformed Steel)로 표시한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2015|p=55}}
 
===원형철근===
==지침==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 SR(Rounded Steel)로 표시한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박선규|2015|p=55}}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border="1" ; collapsible"
==이미지==
!기호
 
!색상
==각주==
|-
 
|SD300
 
|{{색 상자|green}} 녹색
 
|-
 
|SD400
 
|{{색 상자|yellow}} 황색
 
|-
 
|SD500
 
|{{색 상자|black}} 흑색
 
|-
 
|SD600
|{{색 상자|grey}} 회색
|-
|SD700
|{{색 상자|cyan}} 하늘색
|-
|SD400W
|{{색 상자|white}} 백색
|-
|SD500W
|{{색 상자|pink}} 분홍색
|-
|SD400S
|{{색 상자|purple}} 보라색
|-
|SD500S
|{{색 상자|#FF0000}} 적색
|-
|SD600S
|{{색 상자|blue}} 청색
|}롤링에 의해 문자로 철근 표면에 철근의 원산지, 제조사 약호, 강종 구분, 호칭 지름, 용도를 표시한다. SD 350은 2016년 KS 개정에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수요가 없어 삭제되었다.
==용도==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ED%91%9C%EC%A4%80%EA%B0%88%EA%B3%A0%EB%A6%AC 갈고리]: 철근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 정착] 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B9%EC%B9%A8%EC%9D%B4%EC%9D%8C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파일:Fotothek_df_ps_0000276_Montage_von_Bewehrungselementen_aus_Rundstahl.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Fotothek_df_ps_0000276_Montage_von_Bewehrungselementen_aus_Rundstahl.jpg|섬네일|180도 갈고리가 포함된 사진]]
==용접이음==
철근을 용접하여 잇는 경우에 강도가 f<sub>y</sub>의 1.25배 이상이어야 한다.
==철근 결속==
[[파일:Defense.gov_News_Photo_060731-N-0553R-004.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Defense.gov_News_Photo_060731-N-0553R-004.jpg|섬네일|300x300픽셀|철근끼리의 결속은 철선을 사용한다]][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 대한민국]에서 철근 연결은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_%EC%82%B0%EC%97%85_%EA%B7%9C%EA%B2%A9 한국 산업 규격]에 결속선은 담금질된 결속철선(0.9mm), 철근용 클립을 사용.
==관련 규정 및 표준==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9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90%;"
!명칭
!명칭
149번째 줄: 112번째 줄:
|-
|-
|}
|}
==각주==
 
==참고 문헌==
 
*
*
==외부 링크==
==외부 링크==

2022년 6월 20일 (월) 10:28 판

장비명

굴삭기

용어

굴착기(掘鑿機, 틀:Llang) 또는 굴삭기(掘削機)[1], 삽차(삽車), 포클레인(틀:Llang포클랭)

이나 암석 따위를 파내는 기계이다. 대한민국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에서는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굴착장치를 가진 자체중량 1톤 이상의 것"으로 정의한다.[2] 최초의 근대적인 기계식 스팀 굴착기는 1835년 미국윌리엄 오티스(William S. Otis)가 발명했다.[3] 참고로, 윌리엄 오티스는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발명자 엘리샤 오티스와 사촌지간이다. 위키백과

구조 및 특징

사고사례

유의사항

지침

이미지

각주

명칭 내용   비고  
KS B 055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에 대하여 규정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 금속 재료의 인장 시험 방법에 대하여 규정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 제조 중, 공용 중인 재료 및 제품(이하, 시험체라 한다.)의 표면에 생긴 흠, 예를 들면, 균열, 겹침, 주름, 기공 및 융합불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침투 탐상 시험방법(이하, 시험이라 한다.)과 흠에 의한 침투탐상 지시 모양의 분류방법에 대하여 규정
KS B 0839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가스 압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판정 기준
  • 이형 봉강의 가스 압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방법 및 그 검사 결과에 대한 허용 판정 기준 명시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 강의 용접 이음을 공업용 X선 필름을 사용하여 X선 또는 γ선 (이하 방사선이라 한다.)에 따른 직접 촬영 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하는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에 대하여 규정
KS B 0896 페라이트계 강 용접 이음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 두께 6mm 이상의 페라이트계 강의 완전 용입 용접부를 펄스 반사법을 사용한 기본 표시의 초음파 탐상기(이하, 탐상기라 한다.)에서 초음파 탐상 시험(이하, 탐상이라 한다.)을 수동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흠의 검출 방법, 위치 및 치수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규정
KS B ISO 17660-1 용접 – 철근 용접 제1부 -하중을 받는 용접 이음
  • 작업장이나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접 가능한 철근 혹은 스테인리스 철근의 하중을 받는 이음 용접부에 적용
KS D 0213 강자성 재료의 자분탐상검사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 철강재료 및 그 제품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방법에 대하여 규정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는 봉강으로서 열간 압연으로 만든 원형 봉강 및 이형 봉강에 대하여 규정
①다운로드

②정오표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 콘크리트의 보강에 사용하는 재생 봉강(이하 봉강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 콘크리트의 보강에 사용하는 아연 도금 봉강(이하 아연도 봉강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 해수의 분위기에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 철근을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피복한 에폭시 피복 철근(이하 피복 철근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KS D 7017 용접 철망 및 철근 격자
  •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용 및 보강용으로 사용하는 용접 철망에 대하여 규정
KS M 6070 분체 도료
  • 석유, 가스 및 상하수도 수송 강관 또는 건축 철근 콘크리트 봉강에 사용되는 에폭시 분체 도료와 알루미늄재질의 건축 외장재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분체 도료(이하 도료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KCS 14 20 11 :2022 철근공사
  • 철근의 운반, 저장, 가공, 조립, 이음, 품질관리에 필요한 기본사항을 규정
  • D51 이하의 이형철근, 에폭시 도막철근, 지름 18 mm 이하의 용접철망에 적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