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5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8D8D8D; color:#323232; font-size:150%; text-align:center;" |센서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테두리|340픽셀 |- | style="text-align:center;"|'''종류''' || 하중계 |- | style="text-align:center;"|'''모델명''' || WH-2300S |- | style="text-align:center;"|'''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5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8D8D8D; color:#323232; font-size:150%; text-align:center;" |[[센서]]
| style="background:#cccccc; color:#000000; font-size:130%; text-align:center;" |'''콘크리트'''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하중계3.png|테두리|340픽셀]]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2f2f2;" |[[File:Bloczek betonowy.jpg|300픽셀]]
|-
| style="text-align:center;"|'''종류''' || [[하중계]]
|-
| style="text-align:center;"|'''모델명''' || [[WH-2300S]]
|-
| style="text-align:center;"|'''용도''' || 온도, 상대습도, 강우량, 풍속, 풍향, 조도 등 측정
|-
| style="text-align:center;"|'''측정 데이터''' || 날짜 및 시간 (DB 전송 시점), 기온(℃), 습도, 풍속, 풍향
|-
| style="text-align:center;"|'''데이터 형식''' || CSV, JSON
|-
|}
|}


[[ 분류:센서]]
==정의==
[[ 분류:건설장비]]
::* (콘)시멘트, , 잔골재, 굵은 골재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혼화 재료를 구성재료로 하여 이들을 비벼서 만든 것, 또는 경화된 것을 말한다.<ref>국가건설기준용어집(국토교통부, 2022.04)</ref>
 
==개요==
* 스트럿, 어스앵커, 락볼트, 락앵커등에 부착되어 굴착진행으로 인한 하중 인장력의 증감량 변화속도 등을 측정하여 설계인장력 및 출력과의 비교를 통해 안전도 및 공사시 지반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적용범위(센서 적용범위)==
==용어설명==
* 흙막이 공사의 굴착시 버팀보의 축력 및 어스 앵커의 인장력 측정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는 골재이고, 나머지 30%가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 록 앵커, 록 볼트의 하중 측정
::* 시멘트 페이스트는 골재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역할을 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갖게 하고 굳은 콘크리트에는 골재와 결합하여 강도를 발휘한다.
* 파일 및 저장 탱크 하중 측정


==설치방법==
===특징===
* 어스앵커에 설치시 로드셀을 어스엥커 스트랜드를 하중계 센터홀 내부로 넣어 하단 플레이트를 거치시킨 후 하중계를 거치시킨다. 상단 플레이트를 거치시킨 후 지압판을 거치하고 유압책을 이용하여 어스앵커를 인장시킨다. 이장이후 지시계를 이용하여 초기치를 측정한다.
====장점====
* 설치 유의사항 :
::* 압축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 거푸집을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 제작이 가능하다.
::* 시공이 비교적 단순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단점====
::* 인장강도가 작다.
::* 콘크리트 경화 시까지 양생관리가 필요하다.
::* 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경화한 시멘트 풀은 주위가 습윤할 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했다가 주위가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여 수축을 일으킨다. 이를 건조수축이라 한다.
::* 숙련도 및 관리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발생한다.


==측정방법==
===주의사항===
* 하중계에서 연결되어진 케이블을 read out과 연결하여 초기치, 계측치 및 계기 상수를 환산공식에 적용하여 인장력 및 하중을 산정한다.
====레미콘 반입 시 확인 사항====
* 측정 유의사항 :
::* 배관 피복용 모르터는 별도의 차량으로 운반한다.
::* 첫차 반입 시 당일 배합보고서 제출을 확인한다.
::* 레미콘 송장을 확인한다. (규격, 출발, 도착시간)
::* 압송·부어 넣기를 일시 중단할 경우는 콘크리트의 품질변화에 주의하고 비비기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 한도를 주의한다.
::* 슬럼프, 공기량, 온도, 염화물 시험, 압축강도 시험을 한다.


==측정장비 ==
====타설 시 철근 및 매설물의 배치나 거푸집이 변형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 싱글포인트 로드셀
::*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벤딩 빔 로드셀
::* 이어치는 부분은 반드시 레이턴스 제거 등 청소 상태를 확인한 후 시공한다.
* 압축형 로드셀
::* 벽체는 1.5m 이하로 나누어 타설하고, 충전 불리한 부위(세대 창틀주위, 복도난간, 발코니턱 등)는 하부층 목망치 두드림 또는 진동기 다짐을 철저히 하고 반드시 콘크리트의 충진 여부를 확인하여 타설 부위로 이동한다.
* 인장 로드셀
::* 타설속도에 비하여 진동기 대수가 부족하면 시방기준대로 시공(다짐간격 50cm이내, 서서히 뽑는다)이 어려워 하자발생 요인이 되므로 펌프카 1대당 2대의 진동기를 배치하여 타설 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한다.


{| class="wikitable"
====진동기 사용 요령====
|+
::* 봉형 진동기는 수직으로 사용하고 시멘트 페이스트가 떠오르고 기포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다짐한다.
![[파일:하중계_1.png|200x300px|center]]
::* 다짐간격은 50cm이하로 하고 다짐작업 1개층 두께는 60cm 정도가 적합하다.
![[파일:하중계_2.png|200x300px|center]]
::* 2개층 이상으로 나누어 부어넣을 경우 하부 콘크리트와 일체화를 위해 중복깊이 0.1m 이상 관입 되도록 하여 먼저 타설한면과 새로 타설하는 면의 재료 분리에 의한 시공 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 수직 부재의 다짐 시 진동기를 빨리 인발할 경우 물곰보가 발생되므로 천천히 뽑아 올린다.


==00현장 설치 하중계==
==관련규정==
::* KS F 4009 (레디스믹스트 콘크리트)
::* KS F 2401 (시료 채취 방법)
::* KS F 2402 (슬럼프 시험)
::* KS F 2403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 KS F 2409 (단위 용적 질량 시험)




{| class="wikitable"
==관련용어==
|+
::
![[파일:00현장 설치 하중계_1.png|350px|center]]
![[파일:00현장 설치 하중계_2.png|200px|center]]
|}


==00현장 측정 결과==
[[분류:자재관리]]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70%;
! 날짜
! 내용 (특이사항)
! 파일&nbsp;
|- style="text-align:center;"
| style="width:15% | 2022.07.11
| style="text-align: center;"| 특이사항 없음
| style="width:25%"|[[파일 : 00현장 측정 결과.hwp]]
|}

2023년 12월 14일 (목) 10:34 기준 최신판

정의[편집 | 원본 편집]

  • (콘)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혼화 재료를 구성재료로 하여 이들을 비벼서 만든 것, 또는 경화된 것을 말한다.[1]

용어설명[편집 | 원본 편집]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는 골재이고, 나머지 30%가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 시멘트 페이스트는 골재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역할을 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갖게 하고 굳은 콘크리트에는 골재와 결합하여 강도를 발휘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압축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 거푸집을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 제작이 가능하다.
  • 시공이 비교적 단순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인장강도가 작다.
  • 콘크리트 경화 시까지 양생관리가 필요하다.
  • 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경화한 시멘트 풀은 주위가 습윤할 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했다가 주위가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여 수축을 일으킨다. 이를 건조수축이라 한다.
  • 숙련도 및 관리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발생한다.

주의사항[편집 | 원본 편집]

레미콘 반입 시 확인 사항[편집 | 원본 편집]

  • 배관 피복용 모르터는 별도의 차량으로 운반한다.
  • 첫차 반입 시 당일 배합보고서 제출을 확인한다.
  • 레미콘 송장을 확인한다. (규격, 출발, 도착시간)
  • 압송·부어 넣기를 일시 중단할 경우는 콘크리트의 품질변화에 주의하고 비비기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 한도를 주의한다.
  • 슬럼프, 공기량, 온도, 염화물 시험, 압축강도 시험을 한다.

타설 시 철근 및 매설물의 배치나 거푸집이 변형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편집 | 원본 편집]

  •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이어치는 부분은 반드시 레이턴스 제거 등 청소 상태를 확인한 후 시공한다.
  • 벽체는 1.5m 이하로 나누어 타설하고, 충전 불리한 부위(세대 창틀주위, 복도난간, 발코니턱 등)는 하부층 목망치 두드림 또는 진동기 다짐을 철저히 하고 반드시 콘크리트의 충진 여부를 확인하여 타설 부위로 이동한다.
  • 타설속도에 비하여 진동기 대수가 부족하면 시방기준대로 시공(다짐간격 50cm이내, 서서히 뽑는다)이 어려워 하자발생 요인이 되므로 펌프카 1대당 2대의 진동기를 배치하여 타설 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한다.

진동기 사용 요령[편집 | 원본 편집]

  • 봉형 진동기는 수직으로 사용하고 시멘트 페이스트가 떠오르고 기포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다짐한다.
  • 다짐간격은 50cm이하로 하고 다짐작업 1개층 두께는 60cm 정도가 적합하다.
  • 2개층 이상으로 나누어 부어넣을 경우 하부 콘크리트와 일체화를 위해 중복깊이 0.1m 이상 관입 되도록 하여 먼저 타설한면과 새로 타설하는 면의 재료 분리에 의한 시공 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수직 부재의 다짐 시 진동기를 빨리 인발할 경우 물곰보가 발생되므로 천천히 뽑아 올린다.

관련규정[편집 | 원본 편집]

  • KS F 4009 (레디스믹스트 콘크리트)
  • KS F 2401 (시료 채취 방법)
  • KS F 2402 (슬럼프 시험)
  • KS F 2403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 KS F 2409 (단위 용적 질량 시험)


관련용어[편집 | 원본 편집]

  1. 국가건설기준용어집(국토교통부, 20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