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용어 ==
| | {|class="metadata" align="right" |
| 한자: 鐵筋
| |
| | |
| 영어: reinforcing bar(흔히 rebar로 축약)
| |
| | |
| 콘크리트와 함께 철근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주요 건축 자재이자, 건축공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 |
| | |
| 흔히 철골과 혼동하는데, 명칭만 봐도 알겠지만 철근은 근육, 철골은 뼈대에 해당하는 자재이다. 철근은 콘크리트가 하중(상하 압력)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며, 철골은 그 자체로서 하중을 지탱하는 뼈대이다.
| |
| | |
| 크기와 명칭 또한 용도와 모양, 사용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사이즈의 철근, 다른 명칭으로 불린다. 나무위키
| |
| | |
| == 재료 ==
| |
| 일반적으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양구조물 등에서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도막 철근이나 아연 도금 철근,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근, 더 높은 부식환경에서는 섬유에폭시 수지 분체 철근을 쓰기도 한다. 나무위키
| |
| | |
| == 모양 ==
| |
|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한다.
| |
| | |
| === 이형철근 ===
| |
| [[파일:Sheaf_of_steel_rebars.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heaf_of_steel_rebars.jpg|섬네일|253x253픽셀|이형철근]]
| |
|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주철근에 이형철근을 쓴다면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B0%A9 부착]강도가 큰 점, 이음에 철근이 절약된다는 점, 보통 갈고리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의 장점이 있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2015|p=54}} SD(Deformed Steel)로 표시한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2015|p=55}}
| |
| | |
| === 원형철근 ===
| |
|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 SR(Rounded Steel)로 표시한다.{{Sfn|전찬기|이종헌|김동백|김운학|박선규|2015|p=55}}
| |
|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 collapsible" border="1" | |
| !기호
| |
| !색상
| |
| |-
| |
| |SD300
| |
| |{{색 상자|green}} 녹색
| |
| |-
| |
| |SD400
| |
| |{{색 상자|yellow}} 황색
| |
| |-
| |
| |SD500
| |
| |{{색 상자|black}} 흑색
| |
| |-
| |
| |SD600
| |
| |{{색 상자|grey}} 회색
| |
| |-
| |
| |SD700
| |
| |{{색 상자|cyan}} 하늘색
| |
| |-
| |
| |SD400W
| |
| |{색 상자|white} 백색
| |
| |-
| |
| |SD500W
| |
| |{{색 상자|pink}} 분홍색
| |
| |- | | |- |
| |SD400S | | | style="background:#cccccc; color:#000000; font-size:130%; text-align:center;" |'''철근''' |
| |{{색 상자|purple}} 보라색 | |
| |- | | |- |
| |SD500S |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2f2f2;" |[[File:Sheaf of steel rebars.jpg|200픽셀|링크=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heaf_of_steel_rebars.jpg|]] |
| |{{색 상자|#FF0000}} 적색
| |
| |- | |
| |SD600S | |
| |{{색 상자|#808080}} 청색 | |
| |} | | |} |
|
| |
|
| 롤링에 의해 문자로 철근 표면에 철근의 원산지, 제조사 약호, 강종 구분, 호칭 지름, 용도를 표시한다.<ref>KS D 3504:2016. 11 표시</ref> SD 350은 2016년 KS 개정에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수요가 없어 삭제되었다.<ref>KS D 3504:2016. 해설</ref>
| | ==정의== |
| | ::* 철로 만든 보통 막대 모양의 인장력을 맡는 건설재료로, 토목 공학,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보통 재료는 탄소강이며, 따로 쓰기 보다는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으로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이 있는데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가 있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주철근에는 원형철근을 쓰지 않고 이형철근을 쓴다. |
|
| |
|
| == 용도 == | | ==용어설명== |
| | ::* 물 또는 용액으로 반죽하였을 때 단단히 굳어져 교착제 또는 접착제의 구실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물질. |
|
| |
|
| *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 ===종류=== |
|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 | ::*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 |
|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
|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
|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
|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
|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
|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
|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
|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
|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ED%91%9C%EC%A4%80%EA%B0%88%EA%B3%A0%EB%A6%AC 갈고리]: 철근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 정착] 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B9%EC%B9%A8%EC%9D%B4%EC%9D%8C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 |
|
| |
|
| [[파일:Fotothek_df_ps_0000276_Montage_von_Bewehrungselementen_aus_Rundstahl.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Fotothek_df_ps_0000276_Montage_von_Bewehrungselementen_aus_Rundstahl.jpg|섬네일|180도 갈고리가 포함된 사진]] | | ===용도=== |
| | ::* 주철근 :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 | ::*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 |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
| |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 |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 |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 |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 |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 |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 |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 |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 |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ED%91%9C%EC%A4%80%EA%B0%88%EA%B3%A0%EB%A6%AC 갈고리]: 철근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 정착] 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B9%EC%B9%A8%EC%9D%B4%EC%9D%8C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
|
| |
|
| == 용접이음 == | | ==관련규정== |
| 철근을 용접하여 잇는 경우에 강도가 f<sub>y</sub>의 1.25배 이상이어야 한다.
| | ::* KS B 055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
| | ::*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
| | ::*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
| | ::* KS B 0839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가스 압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판정 기준 |
| | ::*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
| | ::* KS B 0896 페라이트계 강 용접 이음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
| | ::* KS B ISO 17660-1 용접 – 철근 용접 제1부 -하중을 받는 용접 이음 |
| | ::* KS D 0213 강자성 재료의 자분탐상검사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
| | ::*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 | ::*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
| | ::*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
| | ::*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
| | ::* KS D 7017 용접 철망 및 철근 격자 |
| | ::* KS M 6070 분체 도료 |
| | ::* KCS 14 20 11 :2022 철근공사 |
|
| |
|
| == 철근 결속 == | | ==관련용어== |
| [[파일:Defense.gov_News_Photo_060731-N-0553R-004.jpg|링크=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Defense.gov_News_Photo_060731-N-0553R-004.jpg|섬네일|300x300픽셀|철근끼리의 결속은 철선을 사용한다]]
| | :: [[이형철근]]. [[원형철근]] |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 대한민국]에서 철근 연결은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_%EC%82%B0%EC%97%85_%EA%B7%9C%EA%B2%A9 한국 산업 규격]에 결속선은 담금질된 결속철선(0.9mm), 철근용 클립을 사용. | |
| | |
| == 관련 규정 및 표준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90%;
| |
| ! 명칭
| |
| ! 내용
| |
| ! 비고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55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 |
| |
| |
| *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width: 7%;"|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 |
| |
| |
| * 금속 재료의 인장 시험 방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 |
| |
| |
| * 제조 중, 공용 중인 재료 및 제품(이하, 시험체라 한다.)의 표면에 생긴 흠, 예를 들면, 균열, 겹침, 주름, 기공 및 융합불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침투 탐상 시험방법(이하, 시험이라 한다.)과 흠에 의한 침투탐상 지시 모양의 분류방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839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가스 압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판정 기준'''
| |
| |
| |
| * 이형 봉강의 가스 압접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방법 및 그 검사 결과에 대한 허용 판정 기준 명시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 |
| |
| |
| * 강의 용접 이음을 공업용 X선 필름을 사용하여 X선 또는 γ선 (이하 방사선이라 한다.)에 따른 직접 촬영 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하는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0896 페라이트계 강 용접 이음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 |
| |
| |
| * 두께 6mm 이상의 페라이트계 강의 완전 용입 용접부를 펄스 반사법을 사용한 기본 표시의 초음파 탐상기(이하, 탐상기라 한다.)에서 초음파 탐상 시험(이하, 탐상이라 한다.)을 수동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흠의 검출 방법, 위치 및 치수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B ISO 17660-1 용접 – 철근 용접 제1부 -하중을 받는 용접 이음'''
| |
| |
| |
| * 작업장이나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접 가능한 철근 혹은 스테인리스 철근의 하중을 받는 이음 용접부에 적용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0213 강자성 재료의 자분탐상검사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 |
| |
| |
| * 철강재료 및 그 제품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방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
| |
| |
| *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는 봉강으로서 열간 압연으로 만든 원형 봉강 및 이형 봉강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index.php?title=미디어:2020년 정보통신공사 감리 표준품셈.pdf| ①다운로드]]
| |
| [[index.php?title=미디어:정보통신공사 설계 표준품셈(조사 및 분석) (정오표 20.07).pdf| ②정오표]]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 |
| |
| |
| * 콘크리트의 보강에 사용하는 재생 봉강(이하 봉강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 |
| |
| |
| * 콘크리트의 보강에 사용하는 아연 도금 봉강(이하 아연도 봉강이라 한다) 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 |
| |
| |
| * 해수의 분위기에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 철근을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피복한 에폭시 피복 철근(이하 피복 철근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D 7017 용접 철망 및 철근 격자'''
| |
| |
| |
| *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용 및 보강용으로 사용하는 용접 철망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S M 6070 분체 도료'''
| |
| |
| |
| * 석유, 가스 및 상하수도 수송 강관 또는 건축 철근 콘크리트 봉강에 사용되는 에폭시 분체 도료와 알루미늄재질의 건축 외장재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분체 도료(이하 도료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KCS 14 20 11 :2022 철근공사'''
| |
| |
| |
| * 철근의 운반, 저장, 가공, 조립, 이음, 품질관리에 필요한 기본사항을 규정
| |
| | |
| * D51 이하의 이형철근, 에폭시 도막철근, 지름 18 mm 이하의 용접철망에 적용
| |
|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 |
| | |
| == 이미지 ==
| |
| {| class="wikitable"
| |
| |+
| |
| ![[파일:WH-2300S이미지.jpg|200px|center]]
| |
| ![[파일:WH-2300S이미지1.png|200px|center]]
| |
| ![[파일:WH-2300S이미지2.png|200px|center]]
| |
| |}
| |
|
| |
|
| == 각주 ==
| | [[분류:자재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