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되돌려진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class="metadata" align="right" | |||
{| class=" | |||
|- | |- | ||
| | | style="background:#cccccc; color:#000000; font-size:130%; text-align:center;" |'''철근''' | ||
|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2f2f2;" |[[File:Sheaf of steel rebars.jpg|200픽셀|링크=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heaf_of_steel_rebars.jpg|]] | ||
| | |||
| | |||
| | |||
|} | |} | ||
==정의== | |||
::* 철로 만든 보통 막대 모양의 인장력을 맡는 건설재료로, 토목 공학,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보통 재료는 탄소강이며, 따로 쓰기 보다는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으로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이 있는데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가 있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주철근에는 원형철근을 쓰지 않고 이형철근을 쓴다. | |||
== | ==용어설명== | ||
::* 물 또는 용액으로 반죽하였을 때 단단히 굳어져 교착제 또는 접착제의 구실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물질. | |||
== | ===종류=== | ||
::*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 | |||
*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용도=== | ||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 ::* 주철근 :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 ||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ED%91%9C%EC%A4%80%EA%B0%88%EA%B3%A0%EB%A6%AC 갈고리]: 철근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 정착] 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B9%EC%B9%A8%EC%9D%B4%EC%9D%8C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ED%91%9C%EC%A4%80%EA%B0%88%EA%B3%A0%EB%A6%AC 갈고리]: 철근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B0%A9 정착] 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B9%EC%B9%A8%EC%9D%B4%EC%9D%8C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 |||
==관련규정== | |||
::* KS B 055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 |||
::*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 |||
::*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 |||
::* KS B 0839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가스 압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판정 기준 | |||
::*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 |||
::* KS B 0896 페라이트계 강 용접 이음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 |||
::* KS B ISO 17660-1 용접 – 철근 용접 제1부 -하중을 받는 용접 이음 | |||
::* KS D 0213 강자성 재료의 자분탐상검사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 |||
::*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
::*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 |||
::*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 |||
::*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 |||
::* KS D 7017 용접 철망 및 철근 격자 | |||
::* KS M 6070 분체 도료 | |||
::* KCS 14 20 11 :2022 철근공사 | |||
==관련용어== | |||
:: [[이형철근]]. [[원형철근]] | |||
[[분류:자재관리]] | |||
2022년 12월 15일 (목) 10:49 기준 최신판
철근 |
정의[편집 | 원본 편집]
- 철로 만든 보통 막대 모양의 인장력을 맡는 건설재료로, 토목 공학,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보통 재료는 탄소강이며, 따로 쓰기 보다는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으로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이 있는데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가 있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주철근에는 원형철근을 쓰지 않고 이형철근을 쓴다.
용어설명[편집 | 원본 편집]
- 물 또는 용액으로 반죽하였을 때 단단히 굳어져 교착제 또는 접착제의 구실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물질.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 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주철근 :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주철근: 설계하중에 의해 그 단면적이 정해지는 철근.
- 부철근: 부(-) 모멘트로 인한 인장 응력을 받도록 배치한 주철근
- 종방향 철근: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휨철근: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스터럽: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 비틀림 철근: 비틀림 응력이 크게 일어나는 부재에서 이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철근.
- 복부보강근: 전단력을 받는 부재의 복부에 배치되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는 철근, 사인장철근이라고도 함.
-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온도 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나선철근: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 또는 철선.
- 굽힘철근: 구부려 올리거나 또는 구부려 내린 복부 철근. 전단 철근의 일종이며,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구부려 만든다.
- 갈고리: 철근의 정착 또는 겹침이음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려 만듦.
관련규정[편집 | 원본 편집]
- KS B 055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 기술 검정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 기준
-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 KS B 0839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봉강 가스 압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판정 기준
-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 KS B 0896 페라이트계 강 용접 이음부에 대한 초음파탐상검사
- KS B ISO 17660-1 용접 – 철근 용접 제1부 -하중을 받는 용접 이음
- KS D 0213 강자성 재료의 자분탐상검사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 KS D 7017 용접 철망 및 철근 격자
- KS M 6070 분체 도료
- KCS 14 20 11 :2022 철근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