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용어설명) |
(→용어설명)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교육자료로 활용가능(위험작업 예시) | |교육자료로 활용가능(위험작업 예시) | ||
|} |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rowspan="2" |공종 | ! rowspan="2" |공종 |
2023년 11월 29일 (수) 16:49 판
드론 |
정의
- 지상에서 원격조정기나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로 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이 탑재되어 자율비행하는 무인비행장치를 말한다.[1]
용어설명
- 드론에 카메라, 라이다 등 각종 장비를 탑재하여 건설현장의 지형 및 장비 위치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집하는 기술로 활용된다. 드론 측량은 사람이 직접 측량하기 어려운 곳을 볼 수 있다는 점과, 단시간에 넓은 지역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드론은 기본적으로 위치 항법 센서(global positioning sensor)를 탑재하고 있어, 위성신호를 통해 비행 중 드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비행제어 시스템을 사용해 드론을 특정지역으로 보내어 비행 및 관련 정보의 수집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드론은 건설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2]
- 건설현장에서의 드론은 공사, 품질, 환경, 안전 분야에서 기존 업무를 일부 대체할 수 있다.[3]
구분 활용계획 기존업무 드론활용 대체 공사 공사현황 관리 현장답사 날짜별 드론영상을 통한 토공, 배수공, 교량공 등의 진행사항 점검 가능 시공관리 현장답사 및 검측 육안으로 점검 가능한 부분 적합(정밀시공 단계에서는 확인 어려움) 민원관리 현장답사 및 도면의 확인 드론영상과 도면의 비교를 통한 문제점 파악 용이 공정 · 기성관리 측량과 검측을 통한 물량 산출 구조물의 시공 유/무 확인 가능(정확한 물량 산출 어려움) 풍수해 취약 지점관리 현장답사 풍수해 이전 영상을 통한 시설보완 및 이후 피해지역 확인 용이 품질 구조물 균열조사 육안확인 균열의 폭 · 길이 판정을 위한 높은 정밀도의 카메라 및 영상분석 기술 필요 접근곤란지역 품질관리 육안확인 및 품질시험 육안확인 작업의 대체 가능, 품질시험의 경우는 대체 불가 환경 환경시설 관리 육안확인 드론영상을 통한 환경시설 유지관리 의사결정 가능 안전 고위험 공종 작업 관리 사전점검 후 구조물 하부에서 확인 실시간 상부 영상 확인을 통해 위해 및 위험요소 확인 가능 안전교육 PPT 등의 자료 활용 교육자료로 활용가능(위험작업 예시)
공종 드론기체 종류 영상종류 3D모델 포인트 클라우드
위치도 지적도
활용 회전익 고정익 수직 이착륙기
스냅사진 (4K이상)
동영상 (4K이상)
정사영상 현황조사 지장물조사 원지반측량 기성측량 비탈면이력관리 터널공사(토공)
관련규정
관련용어
- ↑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기획 최종보고서(국토교통부, 2019. 12)
- ↑ 한국건설관리학회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2009863558916.page
- ↑ 한국도로공사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79721